- 고창 선운산 도솔계곡 일원 등 6개소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지정 예고 목차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고창 선운산 도솔계곡 일원, 무주 구천동 일사대 일원, 무주 구천동 파회, 수심대 일원, 담양 식영정 일원, 담양 명옥헌 원림,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등 6개소를 국가지정문화재인 명승으로 지정 예고했다.
문화재청은 명승 자원 조사를 매년 지역별로 나누어 실시하고 있으며, 이번에 지정예고 하는 곳은 2008년도에 조사 완료한 광주, 전라남북도 지역에서 지정 가치가 큰 6개소이다.
고창 선운산 도솔계곡
선운산(禪雲山)은 도솔산(兜率山) 이라고도 했는데 선운이란 구름 속에서 참선한다는 뜻이고, 도솔이란 미륵불이 있는 도솔천궁의 뜻으로 모두 불도(佛道)를 닦는 산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무주구천동 일사대 전
일사대(一士臺)라는 이름은 이 고장 선비들이 송병선을 동방에 하나밖에 없는 선비라는 뜻의 동방일사(東方一士)라 한데서 비롯되었으며, 푸른 바위의 깨끗하고 의젓함을 들어 지었다고 한다.
무주구천동 파회 전
무주구천동 파회는 바위에 파회(巴?)라고 새겨져 있으며 고요한 소(沼)에 잠겼던 맑은 물이 급류를 타고 쏟아지며 부서져 물보라를 일으키다가 기암에 부딪치며 제자리를 맴돌다 기암사이로 흘러들어가는 곳이다.
무주 구천동 수심대 전경
담양식영정 정자모
식영정(息影亭)은 주변 무등산과 광주호 등이 있어 자연환경과 조화미가 뛰어나고 주변의 소나무 고목과 송림, 배롱나무 등이 있어 아름다운 경승지이다.
‘담양 명옥헌 원림’은 주위의 산수 경관이 연못에 비치는 모습을 정자에서 내려다보며 즐길 수 있도록 한 조선중기의 원림으로, 조선 중기 이정(以井) 오명중이 선친인 명곡(明谷) 오희도의 넋을 위로하고 자연에 은둔하기 위해 아버지가 살던 터에 정자를 짓고, 앞뒤로 네모난 연못을 파서 주변에 적송, 배롱나무 등을 심어 가꾼 정원이다.
연못 앞에 세워진 정자인 명옥헌(鳴玉軒)은 시냇물이 흘러 한 연못을 채우고 다시 그 물이 아래의 연못으로 흘러가는데 물 흐르는 소리가 옥이 부딪히는 것만 같다고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해남 달마산 미황사 전
달마산은 불상과 바위, 석양빛이 조화를 이뤄 삼황(三黃) 이라 불리며, 달마산 경관과 조화를 이루며, 서해를 내려다보이는 곳에 자리 잡은 미황사는 신라 경덕왕 8년(749년) 창건 이후 각종 역사 문화적 유적을 가지고 있다.
이번에 지정 예고한 「고창 선운산 도솔계곡 일원」등 6개소는 30일간의 지정 예고기간 중 주민의견 수렴 및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명승으로 지정할 예정이며, 나아가 보존 및 활용을 위한 사업을 적극 지원하여 지역문화 및 관광자원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뒷받침 할 계획이다.
'불교뉴스 > 신행 포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창 선운사 '반농반선' 승려노후수행관 건립 (0) | 2009.06.19 |
---|---|
선운사 기축년 하안거 포살법회 봉행 (0) | 2009.06.10 |
장수 죽림정사, 백용성조사 탄신 제146회 봉찬법회 봉행 (0) | 2009.06.01 |
완주 봉서사 삼천불 이운법회 및 영산대제 개최 (0) | 2009.06.01 |
정읍 남산사 대적광전 및 삼존불 낙성법회 봉행 (0) | 2009.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