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경의 유래와 종류 목차
사경의 유래와 종류
사경은 경전 말씀을 옮겨 쓴다는 말인데 인쇄술이 발달하지 못했을 때 경전을 베껴 책을 만들어 유포하기 위해서 시작되었다.
사경의 시초는 종려나무의 껍질인 패엽(貝葉)에 범어를 기록한 패엽불전(貝葉佛典)이며, 기원 전·후로 해서 인도 서북부에서 일기 시작한 대승불교 운동은 재가 신도의 신앙을 중시했기 때문에 부처님의 가르침을 넓히기 위해 불경 유포(佛經流布)를 위한 사경 공덕이 강조되었다.
우리 나라에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사경은 통일 신라 시대 때 백지에 먹으로 쓴 <대방광불화엄경>이며 고려 시대에는 사경이 널리 행해져 국가에서 사경원(寫經院)을 설치하기도 했다.
사경을 통하여 완성된 경의 말씀은 보통 불상이나 탑 등에 봉안되었는데, 불국사 석가탑에 모셔져 얼마 전에 세간에 알려졌던 최고의 목판본 무구정광다라니가 그 대표적 예이다.
그러나 요즘의 사정은 많이 달라져서 스스로 그 마음을 맑혀 가는 기도의 의미가 더 많다.
즉 기도 수행의 한 방편으로 사경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 한 자 쓰면서 한 번 절하는 사경의 일자일배 의식이나 한 줄 쓰면서 세 번 절하는 일행삼배 의식은 신앙심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이렇게 기도를 겸한 신앙적 차원의 사경이 요즈음 널리 행해지고 있는 사경의 일반적인 성격이다.
사경의 종류는 재료에 따라 먹으로 쓴 묵서경(墨書經), 금으로 쓴 금자경(金字經), 은으로 쓴 은자경(銀字經)이 있는가 하면 피로 쓴 혈사경(血寫經)도 있다.
또 제본의 형태에 따라서는 두루말이로 한 것은 ‘권자본(券子本)'이라 하고, 병풍처럼 접어서 첩(帖)으로 한 것을 ‘절첩본(折帖本)'이라 하며 족보책처럼 오른쪽 가장자리를 실로 꿰맨 것을 ‘선장본(線裝本)'이라고 한다.
그리고 여러 날 동안 시간을 두고 쓴 점사경(漸寫經)이 있고 하루에 다 쓴 것은 돈사경(頓寫經)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