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다림(屍茶林) 시달림

시다림(屍茶林) 시달림

2010년 08월 18일 by jeungam

    시다림(屍茶林) 시달림 목차

시다림(屍茶林) 시달림

우리는 흔히 타인으로부터 곤욕을 치르거나 괴로움을 받는 것을 “시달림을 받는다” “시달림을 당한다”라고 말한다. 또 “밤새 악몽에 시달렸다” “빚 독촉에 시달렸다” 등 정신적인 고통이나 곤혹스런 경우를 당할 경우에도 시달림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쓰이는 ‘시달림’이란 단어는 본래 불교의 ‘시다림(尸陀林)’에서 유래가 되었습니다. 시다림은 범어의 시타바나(Sitavana)를 음역한 것으로 범어 시타는 ‘차가운(寒)’의 의미이고 바나는 숲(林)의 의미여서 한림(寒林)이라고 번역해 쓰기도 합니다.

시타바나는 중인도의 마갈타국 왕사성 북쪽에 있는 숲으로 일종의 노천 공동묘지였다고 합니다. 그 지역은 죽은 시신을 이 숲에 버리면 독수리 떼들이 날아와 먹어 치우는 조장(鳥葬)의 풍습이 행해진 곳이었는데 큰 죄를 지은 죄수들은 이 시다림 숲에서 살게 하는 벌을 내렸다고 합니다. 시체 썩는 악취와 각종 질병을 견뎌내야만 하는 곳이기 때문에 이 시다림에 들어가는 것 자체가 곧 고행을 의미하는 것이고, 괴로움을 상징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시달림이라는 말이 유래된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뜻이 바뀌어 스님들이 망자를 위하여 설법하는 것을 시다림이라 하고 이를 시다림 법문이라 합니다. 죽은 사람을 위해 법문을 하고 장례의식에 따른 절차를 해야 하는 것이 너무나 힘들고 고통스럽기 때문에 시다림에 비유하게 된 것입니다.

시다림은 불교의식집인‘석문의범’에 따르면 사람이 죽으면 영단과 오방번을 설치한 뒤 오방례를 올리고 무상게를 일러주고 입관하기 전에 삭발과 목욕의식을 진행합니다. 경은 보통 금강경이나 반야심경 등을 독경하고 아미타불이나 지장보살을 염송합니다.

삭발 목욕, 세족으로 유체를 청결히 하고 속옷과 겉옷을 입혀 주는 착군(着裙)과 복건을 쓰는 착관(着冠)을 행한 후 입관하게 되고 영결식 이후 화장장이나 매장장에 이르는 의식을 함으로써 시다림은 모두 끝나게 됩니다.

오방례(五方禮)란 동, 서, 남, 북, 중앙에 계신 부처님께 예배 드리며 영가를 부탁하는 것으로 불교는 다른 종교와 달리 극락세계가 일정한 장소 한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시방세계 어느 곳이나 부처님 없는 곳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5방에 예배를 드리게 됩니다.

'불교자료실 > 불교용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치인의 설화와 불교의 구업  (4) 2010.08.24
패엽(貝葉) 패엽경  (6) 2010.08.14
입측오주 (入厠五呪)  (0) 2010.08.10
천룡팔부 (天龍八部)  (2) 2010.07.31
사대(四大) 사대종(四大種)  (0) 2010.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