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사지 석탑' 태그의 글 목록
썸네일 미륵사지 석탑 복원 준공 미륵사지 석탑 복원 준공 월주스님 “미륵사지 복원은 제2의 꿈” 2천여 사부대중 미륵사지 복원 발원 1999년 해체 복원공사를 시작해 230여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20년간 복원공사를 진행해오던 국보 11호 익산 미륵사지 석탑이 20년에 걸친 복원공사를 마치고 4월 30일 준공식을 개최했다. 문화재청과 전라북도, 익산시, 금산사는 4월 30일 미륵사지 현장에서 미륵사지 석탑 복원공사 준공식 및 봉축법회를 봉행했다. 본행사와 부대행사로 나뉘어 진행된 이날 준공식에는 금산사 조실 월주스님, 동국학원 이사장 자광스님, 금산사 주지 성우스님, 태고종 전북종무원장 진성스님. 흥천사 회주 지환스님을 비롯한 스님들과 이근재 전북불교신도회장, 정재숙 문화재청장, 송하진 전북지사, 정헌율 익산시장, 조배숙 국회의원, 이춘..
썸네일 미륵사지 석탑복원 6층 부분복원 Vs 전체? 미륵사지 석탑복원 6층 부분복원 Vs 전체? 문화재청 , 부분복원 지역주민 반발에 여론 수렴나서 '백제 역사 유적지구'에 대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앞두고 국보 제 11 호 미륵사지 서석탑의 복원과 관련해 문화재청과 지역주민들 사이에 논란이 일고 있다.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5월 28일 익산 미륵사지 유물전시관에서 나선화 청장, 이지성 문화재 연구소장, 지역 주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미륵사지 석탑 현장공개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나선화청장은 "미륵사지 석탑의 복원과 관련해 주민의견 수렴과 기획이 10년전 계획을 바탕으로 추진되고 있어 기술이 변화 ·발전하고 있는 만큼 복원방향을 재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고 설명했다. 미륵사지 석탑 보수 총괄업무를 맡고 있는 김현용 학예사는 지역주민들이 주..
썸네일 미륵사지 석탑 100년만에 재탄생 첫 돌 놓여 미륵사지 석탑 100년만에 재탄생 첫 돌 놓여 26일 복원착수, 2016년 8월 경 복원 완료예정 사리장엄 특별전, 사리 친견 마지막 기회 우리나라 현존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국보 11호 익산 미륵사진 석탑이 지난 1999년 해체 보수공사를 시작한지 13년만에 원 모습으로 복원하기 위한 첫 돌이 놓였다. 전라북도와 국립문화재 연구소는 11월 26일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 석탑 현장에서 ‘미륵사지 석탑 복원 착수식 및 사리장엄 특별전 개막식’을 개최했다. 금산사 조실 월주스님과 주지 성우스님, 숭림사 지광스님, 관음사 덕림스님을 비롯한 지역 스님들과 박성일 전북행정부지사, 최종덕 문화재청 정책국장, 채병선 문화재 연구소 실장, 이한수 익산 시장, 이택회 익산불교신도회장 등 500여명의 사부대중이 100..
썸네일 익산 미륵사지 석탑 6월 복원공사 착공 익산 미륵사지 석탑 6월 복원공사 착공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석탑이며 동양최대규모를 자랑하는 국보 11호 익산 미륵사지 석탑이 오는 6월부터 복원공사에 들어간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지난 1998년부터 12년동안 해체작업과 학술조사가 진행돼왔던 국보 11호 익산 미륵사지 석탑의 복원을 위한 기본계획과 실시설계·국제 학술회의 등을 거쳐 기본윤곽이 확정됐고, 오는 6월에 착공해 2016년까지 복원을 마무리 지을 계획이다. 복원계획에 따르면 미륵사지 석탑은 6층 석탑의 기본 윤곽은 그대로 가져가면서 약간의 변화가 예상된다. 6층까지 부분적으로 복원하는 서석탑은 기초보강과 기단부 1층에 대해서는 빠르면 오는 12월까지 훼손부재 보존처리 등을 실시하고, 2층까지는 4면으로 복원하고 3~6층은 해체직전의 원형으로 복..
썸네일 미륵사지석탑 기단 하부에서 백제 진단(鎭壇)유물 출토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는 지난 2009년 1월 14일 익산 미륵사지석탑(국보 제11호)에서 사리장엄구를 발견한 이래 탑 기단부 발굴조사를 계속 추진한 결과 탑의 진단구(鎭壇具)로 추정되는 다양한 종류의 유물을 발굴했다. 이 유물들은 토제 나발(螺髮), 금동 장식편 등 27종 290여 점으로 남측 통로(폭 1.5m, 길이 3.5m)의 여러 곳에서 발견되었으며 제작 시기는 백제시대로 추정된다. 이 유물들은 석탑 1층 남측 통로 바닥석 해체과정에서 출토되었다. 또한, 목탄(木炭)과 석회 흔적이 심주석(心柱石) 남측 첫 번째 통로 바닥석 하부에서 발견되었으며(사진 1), 이와 함께 진단구 등을 안치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흔적이 일부 확인되었다. 출토된 유물들은 토제 나발, 금박(金箔), 금동장식편..